Semantic Tag와 Semantic Web
계속해서 코드들을 치다보니 드는 생각들이 있었다.
물론 상황마다 다르겠지만 간단한 한 두 문장 입력할 때 <span>을 쓸지 <p>를 쓸지 등에 대해 생각하고 고민하는 시간들이 많아졌다.
거기에서 나아가다보니 Semantic Tag와 Semantic Web에 대해 찾아보게 되었다.
우선 Semantic Tag부터 알아보고자 한다.
Semantic Tag란 컴퓨터 그리고 사람이 해당 태그를 접했을 때 그 역할을 바로 짐작할 수 있는 태그들을 의미한다.
그 예로 <section>, <header>, <footer>, <nav> 등이 있다.
Semantic Tag의 반대인 Non-Semantic Tag에는 <div>, <span> 등이 있다.
<div>는 division이어서 공간을 나눠준다는 의미가 있어서 Semantic Tag일까 했는데 아니었다.
Semantic Tag의 뜻과 역할을 다시 생각해보면 이해가 된다.
지금 자주 쓰는 tag들이 Semantic인지 아닌지 궁금하다면 아래의 사이트를 참고해보길 바랍니다.
https://www.w3schools.com/html/html5_semantic_elements.asp
HTML Semantic Elements
W3Schools offers free online tutorials, references and exercises in all the major languages of the web. Covering popular subjects like HTML, CSS, JavaScript, Python, SQL, Java, and many, many more.
www.w3schools.com
Semantic Tag에서 더 나아가면 Semantic Web이 있다.
Semantic Web이란 현재의 웹 환경에 자원들의 의미와 자원들 간의 관계 정보를 부가하여 컴퓨터가 스스로 정보의 의미를 파악하고 정보를 처리, 추론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웹의 창시자인 버너스 리는 현재의 웹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기 위해 시맨틱 웹을 제시하였으며 W3C를 주축으로 활발한 표준화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Semantic Tag들이 모여 Semantic Web이 되고 나중에는 사람이 정보를 직접 구분하고 처리하지 않고 컴퓨터가 알아서 처리하고 그 과정에서의 규칙들도 지금보다 더 명확하고 세분화되리라 본다.
혹시 더 자세하게 찾아보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사이트를 추천드립니다!
https://www.itfind.or.kr/WZIN/jugidong/1064/106402.htm
Semantic Web의 표준화 및 요소기술 개발 동향
본 문서들은 http://www.dublincore.org/ documents/#proposedrecommendations에서 확인할 수 있다.
www.itfind.or.kr